본문 바로가기

교육/스토리텔링

[용평 브랜드스토리텔링] 1. 문화콘텐츠와 관광 스토리텔링


[2010 New용평, 브랜드스토리텔링 실시간 현장리포트]                                   by. e-문화예술교육연구원

  가을 향기가 성큼 오는 9월 13일 e-문화예술교육연구원의 네 여자가 용평으로 떠났다.
<2010 New용평, 브랜드 스토리텔링> 교육을 위해 용평 리조트로 고고고!


  미래포럼 2기의 미션 '용평 스토리만들기' 와 용평 리조트의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2010, New용평 브랜드스토리텔링> 교육이 2박 3일간 용평 리조트에서 진행되고 있다.
  그 첫번째 순서로, e문화예술교육연구원 방미영원장의 <지식산업 기반시대의 문화 콘텐츠와 관광 스토리텔링>



스토리란 감동이자 소통이다! 왜? 많은 사람들의 입에 화자되기 때문이다.
이순신 장군은 소통전략의 중요성을 잘 알고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는걸 아시나요?


※ 지식산업기반이란?
지식기반 서비스 산업 시대에서는 한 가지만을 다뤄서는 경쟁력을 가질 수 없다. 기술을 중심으로 경제, 사회, 문화와 사람 등 지식생태계를 이루는 요소들의 융합이 필요하고, 융합되고 있다.

  요즘의 사람들은 무언가를 할때 '비교'를 통해 '선택'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온라인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내가 가지 않아도, 내가 먹지 않아도, 내가 듣지 않고 내가 보지 않은 모든 것들을 간접경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은 '만약 내가 그 체험을 하게 된다면?' 무엇을 선택할지는 다른 사람이 하는 말에 결정권이 좌지우지 된다는 말씀! 또한 콘텐츠들 체험, 볼거리, 먹거리 등이 각 개별적특성만을 가지는 것이 아닌 각각이 결합되어 또 다른 'Merite'를 고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문화와 산업이 만나 고부가 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은 요즘 시대에 많은 사람이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현상이다. 문화 콘텐츠의 문화 예술적 정보들이 지역별로 유형화되고 문화자연을 자연과 지리 축제, 이벤트 등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스토리를 부여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용평 축제에는 무엇이 있나요? 하는 질문에 '용평 눈축제'라는 답을 했지만 온라인 검색을 해보니 '용평 눈축제'에 대한 스토리는 찾을 수 없었다. 아.쉽.다. 스토리의 필요성! 스토리를 만드는건 '창작'이기에 재고 따지고 시간끌기 보다는 'Just Do It' 가공되어 있지 않더라도 모든 스토리가 될 만한 가능성을 다 끄집어 내야 한다.



■ 문화 콘텐츠의 단계별 개발 4단계
단계 1) 문화자원수집
: 스토리텔러들이 가장 먼저 찾아가는 곳은 마을의 장로들을 만나고, 그 지역과 가장 잘 어울리고 화자되기 좋은 스토리를 리스트업하여 발굴.
단계 2) 콘텐츠 구성
: 3초 동안 사람들의 시선을 잡지 못한 프로그램은 개편때 사라지고 만다. 그만큼 구성이 중요!
단계 3) 문화 콘텐츠 DB 체계 수립
: 네트워크 시대의 최고의 경재력은? 스토리를 갖는 DataBase.
단계 4) 개발된 관광 문화 콘텐츠 활용방안 제시
: 브랜드 경쟁력을 갖는다는것은? 돈을 벌기 위한것인 만큼 '마케팅' 활용방안을 제시.

  <겨울연가>라는 대 히트를 친 드라마의 배경이 '용평'이라는걸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거의 없다고 봐도 될 정도이다. 그 이유는 '용평'에서 콘텐츠를 활용한 스토리 개발이 부실했기 때문이다. 겨울연가라는 드라마를 보더라도 '아~ 배경이 용평이구나'라는 정도의 생각으로 바라보는 것이 아닌, 겨울연가를 통해 '용평'을 어떻게 알릴까? 라는 관점으로 드라마를 봐야 한다는 것이다. 


   용평리조트는 천해의 자연에 둘러 쌓여 있는, 사계절 종합 휴양지로 어느 다른 리조트들보다 높은 서비스와 볼거리, 즐길거리, 먹거리를 제공하지만 어느 누구와도 견줄 수 없는 경쟁력은, 역사라고 생각한다. '40년 전통'은 어느 리조트도 따라올 수 없고 앞지를 수 없다는 것!



  드라마를 보는 관점을 바꿔보시면 어떨까요? 트렌드를 한꺼번에 쏟아놓는 것은 바로 '영상'이기 때문에 드라마는 모든 영역의 트랜드를 쏟아 부은 콘텐츠라는 것!^^ 대부분의 남자 분들은 드라마 보는 것에 대해 일종의 불편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는데 만약 본인이 스토리텔링을 하고자 한다면, 요즘 시대의 트랜드를 알고자 한다면, "드라마 보기"는 하나의 방법중 하나이다. 
  모든 트렌드를 쫓아가고 따라하진 못하더라도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는 인지해야할 필요가 있다. 전문리포트들보다 드라마 보는것이 훨씬 더 쉬운 방법! 그리고 딱딱한 텍스트로만 이뤄진 것보다 눈으로보고 감정섞인 보이스를 듣는다면 


※ 스토리 사례: 일본 도토리현의 사구와 강원도는 자매결연 사이 
  정말. 아무~~~~~~~~~~~~~~~~~~것도 없는 사막같은 그곳. 낙타 한마리와 곤돌라 그리고 뜨거운
100m도 안되는 짦은 거리를 운행하는 곤돌라가 관광상품으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있다. 또한 일본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한마리의 낙타를 통해 관광객들이 바글바글거리는 아무~~~것도 없는 일본 도토리현의 사구. 그만큼 스토리를 입히고 볼거리 웃음거리 체험거리를 주는것이 중요! 
Tip. 이곳에 가게 될때는 모래가 너무 뜨겁기 때문에 덧버선or 을 꼬옥 챙기세요.

일본 도토리현의 사구


※ 스토리 사례: 올해 2번째로 열렸던, '가고 싶은 섬, 청산도' 축제
  


  스토리 콘텐츠를 발굴하는 '눈'과 하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스토리개발은 어렵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토리는 많이 보고, 많이 참여하고, 많이 듣고, 많이 발로 뛰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인 용평 리조트는 고객들이 감동의 스토리를 만들 수 있는 '먹거리, 볼거리, 할거리, '등을 제공해야 한다. '야! 용평 리조트 호텔에서 김치찌개 먹었는데 완~전 맛있어!!!' 라고 다른 사람들 입에서 나오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 

  김연아가 국민 여동생이 되고 세계적인 피겨스케이팅 선수가 되었을때 TV, 라디오, 잡지등을 통해 끊임없이 '김연아 시리즈'가 나왔던 이유는, 김연아가 쓰는 '스토리'가 사라지기 전에 1등이라는 타이틀이 사라지기 전에, 사람들의 기억속에 잊혀지기 전에, 김연아를 통해 브랜드를 알려 사람들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이다.

용평 리조트 임직원 외 참석자분들!


 



 2박3일간, <2010 New용평,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스토리개발부터 스토리텔링까지 차근차근 하나하나 함께 하는 시간을 가져 볼까요? 모든 강의와 실습은 온라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레포팅되도록 하겠습니다^ㅡ^

http://ecaei.com